본문 바로가기

도움이 되는글/육아 정보

쇠고기청경채미음 만드는 방법 쇠고기청경채미음 만드는 방법 이유식을 일찍 시작한 아기라면 만 6개월, 늦게 시작한 아기라면 만 7개월 정도가 되면 중기 이유식을 시작합니다. 하루에 두 번씩 덩어리가 조금 있는 이유식을 먹기 시작하는데, 아기에 따라 잘 먹기도 하고 먹기 힘들어 하기도 하니 아기에게 맞춰서 이유식 덩어리와 묽기를 조절해줍니다. 아기가 먹기에 덩어리가 조금 큰 것같으면 먹일 때 숟가락으로 으깨가면서 먹이시면 됩니다. 재료 : 쌀 15g, 쇠고기15g, 청경채 잎, 육수 2컵 (쌀은 미리 20분 이상 물에 불려서 준비합니다.) 만드는 방법 : 1. 쇠고기는 0.3cm 두께로 얇게 썰고 청경채는 푸른 잎 부분만 준비해서 4등분해줍니다. 2. 육수는 냄비에 담아 끓여줍니다. 3. 육수가 끓어오르면 쇠고기와 청경채를 넣어 삶아줍.. 더보기
양배추 미음 만드는 법 양배추 미음 만드는 법 모유나 분유만 먹을 때와는 달리 이유식을 시작하면 변이 달라집니다. 변비가 생기거나 변의 색이 달라질 수도 있어요. 이것은 이유식을 시작해서 달라지는 것이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래도 걱정이 되신다면 아기가 다니는 병원의 의사 선생님께 응가사진이나 응가 기저귀를 보여주면서 상담해 보시길 바랍니다. 재료 : 불린 쌀 15g, 양배추 10g, 물 1컵 만드는 방법 : 1. 양배추는 심을 제거하고 듬성듬성 잘라 끓는 물에 푹 데쳐 줍니다. 2. 데친 양배추와 물 1/4컵을 믹서에 넣은후 곱게 갈아줍니다. 3. 불린 쌀과 물 1/4컵을 믹서에 넣은 후 알갱이가 거의 보이지 않을때까지 곱게 갈아줍니다. 4. 믹서에 양배추와 쌀, 나머지 물을 냄비에 넣고 센 불에서 저어가며 끓여.. 더보기
[아토피 정의]아토피 뜻 [아토피 정의]아토피 뜻 아토피 피부염의 '아토피'는 1925년 미국의 코카(A.Coca)가 선천적으로 음식물과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결과로 피부염이나 천식등이 나타는 경향을 아토피라고 기술한 이후쓰이게 되었다. 아토피(atopy)는 '이상한(strange)' 혹은 '부적절한(out of place)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가 발병에 크게 관여하는 면역성 질환이다. 최근에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공해 등에 의한 환경적 요인이 증가하면서 선진국형 질환으로 분류되어 '문명질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으로, 개인적 혹은 가족적인 아토피 병력을 가지는 유전적 소인, 곧 아토피 체질을 .. 더보기
[아이 텔레비전]아이와 텔레비전 [아이 텔레비전]아이와 텔레비전 텔레비전을 못보게 하면 울어요 텔레비전이 아이에게 좋지 않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압니다. 하지만 아이에게 텔레비전 시청을 규제하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습니다. 아이를 텔레비전의 유혹으로부터 떼어 놓는 것이 어렵기도 하거니와 솔선수범해야할 엄마 스스로도 텔레비전을 보는 습관을 고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아이에게 좋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알면서도 텔레비전을 끄면 왠지 허전하고 답답하다는 엄마들도 많습니다. 아이혼자 텔레비전 앞에 두는 것은 금물 아이를 할머니가 봐주는 경우에도 텔레비전 시청이 습관이 될 수가 있습니다. 요즘 엄마들은 텔레비전의 유해성을 잘 알다 보니, 아이가 텔레비전을 오래 보게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손자 손녀가 원하는 건 뭐든지 들어주고 싶어 하고, 텔레비.. 더보기
[키 유전]키는 유전인가? [키 유전]키는 유전인가? 일상적으로 우리가 어떤것이 '유전 된다'고 할 때는 다음 세대에게 좋지 않은 점도 그대로 이어진다는 의미가 포함되어있다. 그렇지만 유전의 진정한 의미는 '좀더 나은 상태로 발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린의 목이 길어진 것이나 코끼리의 코가 길어진 것, 투수나 테니스 선수 등 특정 스포츠 선수들이 많이 쓰는 신체특정부위가 일반인들과는 다르게 발달하는 것이 그런 예다. 우리나라 70년대 성인 평균키는 남자는 165cm 여자는 156cm 이었다. 그러던 것이 해마다 꾸준히 커져 2002년에는 남자 173cm 여자 160cm 로 확연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금도 성인 평균키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유전이란 어쩔 수 없는 선천적 요인으로 대물림 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되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