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나주 관광지 국립나주 박물관 1. 소재지 : 나주시 반남면 신촌리 277 (고분로 747) 2. 관리기관 : 국립나주박물관 (061-330-7800) 3. 관림시간 : 주중은 오전 9시 ~ 오후 6시, 주말과 공휴일은 오전 9시~오후 7시(입장시간은 마감시간 30분전까지 가능) 4. 휴관일 : 매주 월요일, 매년 1월 1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공휴일 다음의 첫번째 평일에 휴관) 5. 관람료 : 무료 국립나주박물관은 사적 제 513호인 나주 반남고분군(신촌리, 덕산리, 대안리)으로 둘러싸여 있고, 복암기 고분군(사적 제404호)과 자미산성이 인접해 있는 '고분군 속의 박물관'으로 국립박물관으로서는 처음으로 도심이 아닌 전원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영산강 유역에 남아있는 고고자료를 보존..
[사자성어]결초보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어서까지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말한다. 춘추시대 진나라의 위무자와 그 아들 과, 그리고 과의 서모 에 얽힌 은혜 갚음의 이야기이다. 위무자에게는 사랑하는 첩이 있었다. 과에게는 곧 서모가 되는 셈이었다. 어느 때 위무자가 중병에 걸려 죽게 되었다. 그가 아직 병이 그다지 깊어지기 전의 일이다. 위무자는 아들을 불러 말했다. "나의 사랑하는 첩을 반드시 개가하게 하라." 그런데 병이 위독해지자 위무자는 생각이 달라졌는지 다시 아들인 과에게 명령하여 말했다. "나의 사랑하는 첩을 반드시 순사하게 하라." 마침내 위무자가 죽었으나 아들인 과는 아버지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그 서모를 개가하게 하고서, 이렇게 말했다. "사람이 병환이 위독해지면 마음..
[상무지구 회포차]꼬막 저녁에 비도 내리고 기분도 거시기(?)해서 친구녀석과 함께 들른 회포차 꼬막입니다. 저는 처음간곳이고 친구녀석은 몇번 와본적이 있다고 하네요. 저희는 밤에 갔는데 로드뷰에는 낮으로 나오니 낯설군요.ㅎ 상무지구 술집들이 하도 자주 바뀌어서 나중에 다시 갈려고하면 없어지고 다른 가게로 바뀌는 케이스가 많더라구요. 사실 보면은 장사가 잘되는집들은 몇년이상씩 영업을 하곤 합니다. 역시 현란한 상무지구 밤 분위기 입니다. 비도 내리고 간판은 찍어야겠고. 하도 간판이 많아서 고민했습니다. ㅋㅋ 어디를 찍어야할지 간판있는 쪽은 입구가 아니구요 여기 수족관 옆계단이 입구입니다. 수족관에 보이는 생선들이 배뒤집고 죽어있는 녀석들이 없어서 우선은 안심이 드는군요. 포장마차 특유의 3단 메뉴판입니다...
[아토피 정의]아토피 뜻 아토피 피부염의 '아토피'는 1925년 미국의 코카(A.Coca)가 선천적으로 음식물과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결과로 피부염이나 천식등이 나타는 경향을 아토피라고 기술한 이후쓰이게 되었다. 아토피(atopy)는 '이상한(strange)' 혹은 '부적절한(out of place)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가 발병에 크게 관여하는 면역성 질환이다. 최근에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공해 등에 의한 환경적 요인이 증가하면서 선진국형 질환으로 분류되어 '문명질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으로, 개인적 혹은 가족적인 아토피 병력을 가지는 유전적 소인, 곧 아토피 체질을 ..
[봄 나무꽃 종류]배나무, 콩배나무, 윤노리나무 배나무(장미과) 과일 나무로 심어 기르는 갈잎큰키나무. 과수원에서 많이 재배하며 5m 정도 높이로 자란다. 우리 나라는 배가 익는 가을 날씨가 좋아 달고 시원한 배가 생산되는 곳으로 유명하다. 4월에 잎과 함께 나무 가득 하얀 꽃이 핀 모습이 매우 아릅답다. 처음 돋아나는 어린 잎은 붉은 빛이 돈다. 타원형 잎은 가지에 서로 어긋난다. 배는 꽃받침이 자라서 된 열매로 가을에 누런색으로 탐스럽게 익는다. 콩배나무(장미과) 산에서 자라는 갈잎떨기나무. 3m 정도 높이로 자란다. 가시가 있는 자갈색 가지에 공기의 통로가 되는 흰 점 같은 껍질눈이 많다. 달걀꼴의 잎은 가지에 서로 어긋난다. 4~5월에 짧은 가지 끝에 5~9개의 하얀색꽃이 모여 피는데 꽃밥은 붉은..
[중생대 공룡]데이노수쿠스, 알파돈, 자람브달레스테스 데이노수쿠스(Deinosuchus) 이 '무시무시한 악어'는 두개골만 발견되었을뿐이지만, 그 크기로 보아 지금까지 존재했던 동물중 몸집이 가장 큰 악어류였음을 짐작할수 있다. 고생물학자들은 이 동물의 몸 크기와 몸의 비율, 생활방식에 대한 논쟁을 지금도 계속하고 있다. 같은 집단에 속한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데이노수쿠스는 단단한 두 번째 입천장이 있어서 물속에서 물을 삼키지 않고도 입을 벌릴수 있었다. 이들은 물고기나 강둑 가까이 다가오는 육상동물을 잡아 먹었을 것이다. 알파돈(Alphadon) 이름이 '첫번째 이빨'을 뜻하는 알파돈은 현생 주머니쥐를 닮은 원시적인 유대류이다. 서로 마주볼수 있는 발가락이 달린 발과 잡는 힘이 있는 꼬리를 이용해 ..
[봄 나무꽃]장딸기, 귀룽나무, 옥매 장딸기(장미과) 남쪽 섬의 산에서 20~60cm 높이로 자라는 갈잎떨기나무. 줄기에는 가시와 함께 끈끈한 털이 빽빽이 난다. 줄기에 서로 어긋나는 잎은 긴 잎자루에 3~5개의 작은 타원형 쪽잎이 새깃처럼 마주 붙는 겹잎이다. 작은 잎은 끝이 뾰족하며 잎맥이 뚜렷하여 주름이 진다. 4~5월에 가지 끝에 흰꽃이 핀다. 둥근 딸기 열매는 6~7월에 붉게 익고 먹을수 있다. 귀룽나무(장미과) 중부 이북 지방의 산기슭이나 산골짜기에서 10~15m 높이로 자라는 갈잎큰키나무. 타원형 잎은 가지에 서로 어긋난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새 가지끝에 달리는 긴 꽃대에 자잘한 흰색꽃이 촘촘이 모여 달린 꽃송이가 밑으로 처진다. 작고 둥근 열매는 검은색으로 익는데 먹을수있다. 비교적 다른..
[중생대 공룡]에드몬토니아, 민미, 가스토니아 에드몬토니아(Edmontonia) 이 안킬로사우루스류는 몸집의 부피가 크고 네 다리가 짧고 두꺼우며, 발의 폭이 넓고 목이 짧다. 등과 꼬리에는 골판과 가시가 줄줄이 나 있다. 이 공룡의 어깨에는 기다란 가시와 커다란 방패관이 있어 특히 보호를 잘 받았다. 화석으로 발견된 방패관들은 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방패관들이 가죽에서 곧게 나온 것이 아니라 약간 비스듬히 돌출되었음을 의미한다. 길고 납작한 에드몬토니아의 두개골에는 커다란 비강과 약한 턱이 있다. 주둥이 앞은 이빨이 없는 각질의 부리로 이루어져 있고, 입안에는 작고 약한 어금니가 있다. 민미(Minmi) 오스트레일리아의 민미 크로싱의 이름을 따 명명한, 작지만 육중한 몸집과 두꺼운 방호갑이 ..
[봄 나무꽃]목련 종류 목련 제주도에서 10m 높이로 자라는 갈이큰키나무. 관상수로 심기도 한다. 3~4월에 잎보다 먼저 탐스런 하얀꽃이 나무 가득 피는데 보통 6장의 꽃잎 조각은 활짝 벌어진다. 꽃이 질때쯤 넓은 달걀꼴의 잎이 가지에 서로 어긋난다. 원통형 열매는 가을에 익으면 칸칸이 벌어지면서 주홍색 씨가 드러난다. 백목련보다 꽃잎이 더희고 6장의 꽃잎 조각이 활짝 벌어진다. 백목련 중국 원산으로 15m 높이까지 자라는 갈잎큰키나무. 흔히 관상수로 심는다. 3~4월에 잎보다 먼저 탐스런 하얀꽃이 나무 가득 피는데 꽃잎조각은 9개이다. 꽃눈은 회갈색 털로 덮여있다. 꽃봉오리 모양이 붓을 닮아 '나무붓' 이라는 뜻으로 '목필'이라고 했다. 달걀 모양의 잎은 가지에 서로 어긋난다. 원통형 열매는 가을에 익..
[중생대 공룡]데이노케이루스, 갈리미무스, 오르니토미무스 데이노케이루스(Deinocheirus) 이 공룡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지금까지 발견된 유일한 화석은 2.4m 길이의 팔 두개로, 무시무시한 손 이라는 뜻의 이름도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팔은 오르니토미무스의 것과 비슷한데, 모습이 이상한 테리지노사우루스를 제외한 다른 어떤 동물의 팔보다 더 길다. 일부 전문가들은 손에 있는 손톱이 사냥을 하기에는 너무 뭉툭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갈리미무스(Gallimimus) 갈리미무스는 오르니토미메류 내지 '새 모방자' 공룡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집단중 하나이다. 몸통은 짧고, 꼬리는 길고 뻣뻣하며, 날씬한 다리는 빠른 속도로 달리는데 적합하다.목은 가늘고 유연하며, 두개골 끝에는 이빨이 없는..